본문 바로가기
  • 달빛이야기
  • 달빛이야기
  • 달빛이야기
건축양식.자재

광주시 퇴촌면 도예가 이종능씨집

by 달빛아래서 2018. 4. 10.

[펌] 광주시 퇴촌면 도예가 이종능씨집 생활정보

2005. 5. 9. 13:40

복사 https://blog.naver.com/kimsk1100/60012654531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출처 혼자 가는 먼 집 | 이데아
원문 https://blog.naver.com/hangbok21/40011710759
 
 
느리게, 더 느리게 울려 퍼지는 황토빛 ‘삶의 교향곡’
 
 
 

▲ 거실에는 작업장에서 쓰던 주물 벽난로를 옮겨다 놓았다. 별다른 치장 없이 벽난로만 덩그렇게 있는 폼이, 이런저런 장식이 필요한 매립형보다는 좀더 서민적이고 좀더 자연스러워서 좋단다. 마치 무쇠솥 같은 질감은 난로 위에 도시락을 층층이 쌓았던 학창시절의 기억처럼 친근하다.
 
 
도예가인 지산에게 불을 지피는 일은 생활 그 자체다. 겨울의 초입, 그의 삶터이자 작업터인 ‘지산 도천방’을 찾은 날에도 그는 시골집 부엌 아궁이처럼 생긴 화구에 불길을 활활 당겨놓고 일행을 맞아 주었다. 자연의 모습처럼 편안하게 빚어놓은 벽난로 앞에 있노라면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깨닫게 된다. 지산의 황토빛 삶의 교향곡.
 
 
▲ 아궁이 벽난로는 온돌방도 덥히고 보조 난방기구로도 쓰이는 등 일석이조의 역할을 해낸다. 아궁이 뒤로 온돌방이 위치한다.
 
 
광주시 퇴촌면 관음1리 734번지. 절골이라고도 불리는 이 아담한 마을은 을씨년스러운 겨울 정취를 품에 안은 듯 고즈넉하다. 그 길 끝자락쯤에 다다르면 덩치 있는 전원주택들 사이에 살포시 내려앉은 키 낮은 양철지붕 집이 보인다. 대문도 없이 낯선 사람들에게 열려 있는 마당으로 들어서자 질펀한 황토를 바른 살림채가 서 있고 널찍한 마당에는 갖가지 세간과 목재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다.
 
머리띠를 질끈 묶고 마당을 분주히 오가던 주인장은 지붕 새는 것만 고치자고 시작한 일이 그만 집을 송두리째 뜯어고치는 대형 동사가 되어버렸다는 인사말을 내민다.
 
 
지산 이종능. 자신이 빚어내는 도자기에 ‘토흔(土痕)’이라는 브랜드를 붙여 세상에 선보이고 있는 중겹급 도예 작가다. 그를 찾아 절골까지 찾아든 이유는 그가 손수 만들었다는, 정체가 묘한(?) 벽난로 때문이다. 전화 상에서 그는 ‘아궁이 벽난로를 만들고 있다’고 했다.
 
아궁이를 실내에 설치해 온돌방도 지피고 보조 난방기구로도 이용한다는 것이다. 그의 말만으로는 도무지 그림이 그려지지 않아 이런저런 상상만 하며 작업이 완료되는 날을 기다려온 것이다.
 
 


▲  ‘토흔(土痕)’이라는 이름으로 빚어낸 그의 도자기들은 자연에 순응하며 살고자 하는 주인을 닮았다.
 
 
삐그덕. 목재문을 열고 살림채로 들어서니 입이 딱 벌어진다. 정말 아궁이 모양새를 한 화구에 집안에 떡 하니 들어앉아 있는 것이다. 어린 시절 시골집 기억 속으로 마구 달려가는 듯한 기분이 드는 그 광경이 정겹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신기하기도 하다.
 
“소문을 듣고 사람들이 많이 다녀갔다 아닌교. 오는 사람들마다 아궁이 없앤 걸 후회합디다. 요즘 사람들은 옛날 집 리모델링한다고 하면 온돌 구들부터 걷어낸다는 거 아닙니꺼. 그리고 공구리쳐 보일러 까는 게 제일 먼접디더.”
 
온돌 문화 없어지는 게 못내 아쉬워 만들기 시작했다는 ‘지산식 아궁이 벽난로’는 ‘성공작’으로 보인다. 외양은 부엌에 있는 아궁이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기존의 아궁이보다 바닥이 20~30cm정도 더 낮다는 것뿐. 시공법도 그렇게 어렵지 않은 듯 싶다. 아궁이를 파고 주위에 흙벽돌을 겹으로 쌓아올린 후 연통을 달아 집밖으로 빼내면 된다.
 
 
 
▲  자연의 모습을 담은 그릇처럼 마냥 편안한 느낌을 주는 아궁이 벽난로. 처음부터 끝까지 지산이 손수 만들었다.
 
 
“어릴 때부터 구들 고치는 것을 보고 자랐고 직접 장작 가마도 떼다 보니 불의 원리를 잘 안다 아닙니꺼. 벽난로의 원리는 간단합니더. 누구나 만들 수 있어예. 전문가만히 할 수 있다는 생각은 환상이고 편견이지예.”
 
 
지산은 벽난로가 종종 부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세태가 못내 섭섭한 모양이다. 그에게 불은 그저 가까이 하고 싶은 자연이고 여장을 풀고 쉬어갈 때 만나는 길동무 같은 것이라고. 어린 시절 어머니가 불쑤시개로 아궁이를 뒤적이며 온돌을 뜨뜻하게 덥혀 놓고 집으로 돌아오는 가족을 맞이한 것처럼 말이다.
 
 
“아궁이에서 활활 타오르는 불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하고 여유로워져예. 벽난로가 별다른 게 있습니꺼. 온돌이 곧 우리식 벽난로지예.”
 
 
그저 정신 없이 돌아가는 세상에서, 지산은 삶을 좀더 느리게 연주할 수 있는 모티브로 ‘아궁이 벽난로’를 선택한 듯 싶다. 타닥타닥 소나무 장작이 뿜어내는 불길과 어울여 있는 그의 모습이 더없이 편안해 보인다. 벽난로가 있는 집안 풍경은 그가 창조한 작은 우주 같다.
 
 
 
 
 

 

출처 : 주택저널  www.jutech.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