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거용전원주택:평생 살 집이라는 고정관념을 버려라. 아파트의 경우, 평생산다는 개념은 없다. 아이가 성장하거나. 싫증을 내거나 재테크를 위해 옮기는 경우가많으나 전원주택은 이러한개념이 희박하다. 평생살집이라는 생각은 잘못이다. 전원주택도 재테크가 되어야한다. 남의눈을 의식해서 큰집을 지어 후에 낭패하는 경우를 종종본다.
2.주말형 전원주택:주말주택의 개념을 혼동하여 주거형으로 집을지어 크게 손해나는 경우. 농지법개정으로 1,000평방미터이내는 농업경영계획서없이 주말농장구입이 가능하다. 늘어나는 수요에 맞춰
농가주택을 구입하여 개조하여 생활하거나 팬션이나 민박으로 사용한다.
농막은 농지를 전용하지 않고도 설치할수 있는 건물이다. 그러나 가설건축물이기 때문에 전기를 설치할수 없어 주택의 기능을 100% 수행할 수는 없다. 보통은 농기계를 보관하는 장소로 이용되기에 신고만으로 20평방미터까지 설치할수 있다. 이 농막을 이용,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농막형주말주택이다. 컨테이너 하우스도 여기에 해당한다. 그러나 전기를 가설하게되면 복잡해진다. 전기가설은 건축으로 간주되어 건축물관리대장을 만들어야하고 건물보존등기도 해야한다.
이에 덧붙여 오폐수정화시설, 상수도내지 지하수등 경비가 만만하지않다.
3.전원생활에 익숙하기전에는 전세부터 시작하는것도 좋은방법이다. 동네에서 시골사람들의 텃세도
고려해야한다. 도시생활과 전원에서의 토박이들이 문화적관습은 다르기 때문이다. 사람도 보듬고,땅도 보듬을수 있어야 비로서 그곳 사람이 될 수있다.
5.지주공동개발: 지주와 개발업자가 각각투자하여 이익배분하는 방법
7.한계농지정비지구:농어촌공사의 공영개발을 거쳐 조성도나 용지를 공개분양하는 절차를 통한분양
4.전원주택구입시 너무 동네사람말을 믿지말것. 당사자의 꼼꼼한 답사 및 가격등을 여러경로를 통해 검증한다.
(좋은 땅 고르기)
1.전원주택을 보러 다니는 사람이 제일중요하게 살펴야하는 것이 지형과 향向이다, 우선 땅을 볼때에는 겨울에서 이른봄이 좋다. 겨울이나 이른봄은 대지가 옷을 벗는 계절이므로 여름의 무성한 숲이나 가을의 단풍에 현혹되어 올바른 판단을 그르치는 염려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좌청룡 우백호”의 형태를 가진 양지바른 남향의 땅이면 더욱좋다. 약간 언덕진 곳이 좋으며, 옆으로 조그만 도랑이나 식수로 쓸 수 있는 수맥이 있으면 더욱좋다.
좋은 전원주택지를 선택했다하더라도 그 땅에 한동안 앉아 기운과 몸의 기운이 일치하는가를 느껴보는 것이다. 편안하고 따스함을 느끼면 좋은 자리지만 불편함을 느낀다면 피해야 할 곳이다.
10.정사각형보다는 직사각형으로 도로에 접한 부분이 긴땅
9.주택의 위치에서 산만한 감이없이 온화한 느낌이 드는 주택
1.자연적인 조건: 남향인 앞쪽이 낮고, 북향인 뒤쪽이 높은곳이 좋다. 일조권과 여름철 통풍이 좋고
북서향의 산이나 숲의 조건은 겨울철의 북서계절풍을 막을수 있기 때문이다. 터잡기 전에 진입로확보부터 해야하며, 지적도상 분명히 도로로 구분되어 있어야하며, 사유지가 아니어야한다. 만약 사유지라면 반드시 소유주에게 사용승낙서를 받든지, 어떤형태로든 확인절차를 거쳐야한다.
좋은집터라면, 비석비토(非石非土)--배수가 잘되어 습하지도않고, 쉽게 건조하지도 않고 모래나 암석이 적어 식물의 성장에도 좋다. 전원주택의 대부분은 산림을 훼손하거나, 농지를 전용해서 건축되므로 부지조성시 훼손부위 상단부에 반드시 배수 및 안전시설을 갖춘다. 흙을 메우는 경우는 토지의 지반을 단단케 하기위해 지반강화작업을 약3년간 한후에 건축하는 것이 좋다. 매립의 경우 문제가 없으나, 산업폐기물이나 건축폐기물로 땅을 매립한 경우 지속적으로 해로운 가스가 발생되기 때문에 인체에 나쁜영향을 준다. 또한 광물질이나, 지하수맥이 있는 땅은 피할 것
수맥파는 투과성이 강하여 거의 모든 물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지하든 모든 고층아파트의 꼭대기층이든 높이에 상관없이 수맥파가 미치는 영향은 똑같다. 수맥이 흐르는 위로 동판이나.알류미늄판,은박지등을 깔아 차단하는 방법이다. 동판이 가장 좋으나 가격이 비싼점이 흠이다. 수맥이 흐르는 침대밑이나, 잠자리아래에 알류미늄호일을 몇겹 깔아놓는것도 수맥을 차단하는 방법중 하나이다.
생활권을 누릴수 있는 도시와의 거리는 30분대가 적당하다.
*도로교통조건:도로 기본폭은 4m이상이어야 하고 지적도상 도로가 명시되지않은곳은 도로부분에 대한 토지사용승낙서나 기타 영구적으로 도로로 확보할수 있는 증서를 확보할것,
*현실적인 문제를 냉철하게 판단하라: 풍광에 반해 그곳에서 평생살수 있을까 냉정하게 판단핤것
*문화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고 시작하라: 시골주민들과의 인화관계
*유유상종이 좋다: 성공회5기 산악회는 마음이 통해야 지속유지된다.
1.평생 살집이라고 욕심내면 실패하기 쉽다. 전원주택을 과시용으로 지으려는 사람들에게는 재테크가 되지 않는다. 전원주택의 성패는 지역에 맞는 건축에 있는 것이다
4.전원주택의 종류: 목조주택(가격보다는 품질, 어떤기업제품을 선택하는가가 중요하다, 다리품을 많이 팔수록 가격은 내려가고 품질은 상승한다, 과학적인 눈과 예술적인 안목요구, A/S는 필수임.
황토주택:선진국은 이미 집을 지을때 시멘트에서 벗어나 흙, 돌을 사용한다. 단열성으로 인해 겨울엔 따뜻하고 여름엔 시원한 특징. 황토를 자재로 쓸때 열차단효과가 장점중 장점으로 본다.
군지부등에서 항상 열람가능. 필요하면 복사료만 내고 구입할수 있다.
6.정원 잘 꾸미면 집값도 오른다: 리모델링을 하면 아파트도 쉽게 팔수 있듯이 전원주택도 조경을 새롭게해서 팔면 값도 좋고 빨리 팔수 있다. 이제는 집관리가 재톄그다.
마당은 보통 자연석과 나무, 잔디등으로 꾸미게되는데 나무는 가꾸는 재미가 있는 것으로 선택하며
나무높이가 3M를 넘으면 관리하기가 어렵고, 키우는 재미도 없다. 수종으로는 한국소나무,은행나무
단풍나무, 감나무등이 일반적이다. 부부의 침실쪽에는 향기가 좋은 라일락을 심고 정자가 있으면
그 주변에 느티나무를 심는등 위치와 분위기에 따라 수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울타리는 전원풍이 나게 생울타리가 좋다. 수종으로는 개나리,사철나무,측백나무, 장미, 쥐똥나무
7.난방등 부대시설: 절반으로 줄일것---심야전기보일러,벽난로등
가)부지가 전원주택을 지을수 있는 용도인가? 전.답인 경우 대지로 사용하기 위한 전용허가득
나)내집에 필요한 법적제한조건 도시계획내인 경우 최소 4M도로 외인 경우 3M폭의 도로요망.
사람들에게 붙여진 성이 있듯이 지적법에서는 지적법상 용도를 규정하는 지목이 있다.
과연 주5일근무를 맞이해서 한국인들의 회귀본능을 생각할 때 당연히 땅에 관심이 많을것이다.
전원주택을 지을수 있는 땅은 2가지다. 대지이거나, 대지로 전용이 가능한 토지의 범주이다. 일반인들이 흔히 전요을 할수있는 것은 준농림지역내의 전,답이나 준보전임지이다. 우선 마을과의 거리가
200M이상 벗어나면 전기가설비용이 큰 부담이 될 수있다. 전용허가를 받은 농지에 집을 지을 경우
대략 수도권에선는 평당 5만원의 추가비용이 들어간다. 전용이 필요없는 땅은 신고만으로 가능.
수도권일원에서는 건축면적의 3~4배가 대지화된다. 바닥면적기준으로 40평을 짓는다면 120~160평 정도가 대지화되는 것이다. 전용허가를 받게되면 1년내에 집을 지어야하며 6개월씩 2번은 연장할수 있으므로 전용후 2년간 건축을 하지 않고 지연할수 있다. 그러나 그이상이 되면 다시 농지로
환원되어 불이익을 보게된다. 지저상 맹지에는 전용허가가 나오지 않으므로 진입토지주의 인감을
첨부한 토지사용승낙서를 받아야한다. 맹지인 경우 도로폭이 3M이상이 되어야하며 진입거리가 35M인 경우에는 도로폭이 4M는 되야한다. 또한 자연녹지내에서의 도로는 4M이상, 단지를 조성하려면 6M이상의 도로를 확보하여야한다.
대지를 만들면서 줄어든 만큼의 농지를 새로 조성해야 하는데 여기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위해
대체조성비가 있는것이다. 평당 전답의 경우는 평당 34,050원, 임야는 평당 4,198원이다
1990년 토지공개념의 일환으로 개발이익을 세금으로 환수하는 제도. 주택한채를 짓는 사람에게는
해당되지 않으며, 전원주택단지 개발사업자에게 해당된다.
농막을 사용하면서 전원생활의 적응기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귀농, 귀촌, 강원도 부동산, 횡성 부동산의 모든 것이 산골전원주택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즐감하셨으면 ▼ 하단에 추천하기 한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타인의전원생활엿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마솥2개화덕 (0) | 2014.06.05 |
---|---|
[스크랩] 가마솥 화덕 만들기 (0) | 2014.05.22 |
[스크랩] [귀농길잡이]귀농용 전원주택도 재테크다, 귀농 집짓기 20계명 (0) | 2014.04.01 |
[스크랩] [전원칼럼] 집 한 채 값 1억2천만 원으로 테마를 만들자 (0) | 2014.03.20 |
[스크랩] 전원 생활의 필수 지혜 31가지 (0) | 2014.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