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은 이렇게 짓자
우리나라 사람들의 특성 가운데에 ‘빨리빨리 문화’라는 것이 있다.
자장면이 맛없는 것은 용서해도 늦게 나오는 것은 참지 못한다.
자동차 운전도, 업무 보기도, 현장 일도… 하여간 우리나라 사람들의 조급증은 남다른 데가 있다.
또한 대충대충, 얼렁뚱땅, 어영부영 등도 우리 사회를 멍들게 하는 요인들이다.
물론 일을 빨리빨리 해치운다고 해서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요즘처럼 속도를 중시하는 정보사회에서 일을 빨리 해치우는 능력은 경쟁력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이 IT강국을 만들게 했고, 세계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게 했을 정도니까.
하여튼 빠름이 느림과 나태함보다는 역동적이고 생산적이어서 좋기는 하다.
그런데 건축은 ‘빨리빨리’하면 안 된다. 지나치게 빨리 하다 보면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내 집만은 빨리빨리 짓지 말자
건축은 일정한 공기(工期)가 필요하다. 공기란 건물을 완성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나,
각 공종(工種)별 최소로 걸리는 공사 기간을 말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처럼 건축은 일정한 공사 기간을 필요로 하기 마련이다.
이를 무시한 채 공기를 앞당기려고 야간작업이나 돌관(突貫)작업 등 공사를
무리하게 하다 보면 문제가 발생한다. 사고 발생은 물론 각종 하자의 원인이 된다.
예전에는 돌관작업을 통한 공기 단축을 자랑스럽게 여겼다.
지하철 공사 현장의 철야작업과 돌관작업 장면을 자랑스럽게 뉴스에 내보내기까지 했다.
과연 그것이 자랑하고 떠벌릴 일인가? 전혀 그렇지 않다.
모든 일은 정상적이고, 정해진 법칙에 따를 때라야 품질이 높아지고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승리하리라(Slow and steady wins the race).”라고 했는데,
바로 건축에서 필요한 말이다. 물론 공기를 앞당기면 여러모로 좋기는 하다.
건물을 빨리 사용할 수 있고, 간접비도 절약할 수는 있다.
그러나 전체를 생각한다면 무리한 공기 단축은 반드시 탈이 나기 마련이다.
최초에는 공사비를 절약한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에는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만다.
내 집은 너무 값싸게 짓지 말자
정부 공사 발주 방식에 ‘최저가 낙찰제’라는 것이 있다.
심지어 대규모 공사를 어느 업체가 단돈 1원에 낙찰을 받았다는 기사를 본 적도 있다.
이 정도는 아니더라도 정상보다 낮게 책정한 공사비로 한 건축을 두고
결코 예산을 줄였다고 할 수는 없다. 건물이란 수십 년을 사용한다.
그런데 그 건물의 전체 비용(최초 건설비 유지 관리비)을 생각할 때,
사실 최초 건설비는 건물의 수명 전체 기간 동안 들어가는 것에 비하면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공사비를 줄였다고 해서 전체 비용을 줄였다고 단정할 수 없다.
같은 개념으로 건물에는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Life Cycle Cost)라는 게 있다.
줄여서 LCC라고 하는데, 굳이 번역하자면 ‘생애주기비용(生涯週期費用)’이다.
그 건물이 존재하는 생애 동안 들어가는 총비용을 말하는 것으로,
최초 건설비와 유지 관리비 등을 포함한 모든 비용을 말한다.
유지 관리비에는 각종 하자보수비, 수리비, 개조비 등과 냉·난방비, 광열비 등을 포함시킨다.
그런데 최초에 잘못 지은 건물은 사용하는 동안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에 더 많은 비용을 요구한다.
심지어는 수리하고 개조하는 비용이 다시 짓는 것보다 훨씬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하는 경우도 흔하다. 처음에 비싸게 산 옷이 더 오래 입는 것과 같다.
그런데도 건물을 사용하면서 들어가는 유지 관리비에 대해서는 가볍게 생각하고,
집을 너무 싸게 짓는 것이 예산을 절감하는 길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내 집은 생각을 많이 하고 짓자
모든 일이 그렇지만 특히 건축은 생각을 많이 할수록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흔히 건축에는 정답이 없다고 한다. 공사비도 정해진 답이 없기에
싸게 지으려면 얼마든지 싸게 지을 수 있고, 비용을 들여 지으려면 한도 끝도 없다.
또한 디자인도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므로 어떤 외관이 좋다고 단정지어 답할 수 없고,
집의 구조나 인테리어 등도 모든 면에서 그렇다. 물론 아무리 주관적이라고는 하지만,
이처럼 변수가 많은 것이 건축이므로 많은 생각과 여유가 필요하다.
특히 일반인들은 평생에 한두 번 지을까 말까 하는 내 집을 연습하듯이 할 수 없으므로
신중한 생각과 판단이 필요하다. 설계나 공사를 하는 전문가들에게도 여유를 주어야 한다.
공사야 설계도면대로 하니까 그렇다 쳐도, 설계만큼은 시간을 충분히 줄수록 좋은 집이 나온다.
그 아이디어는 어느 한 순간에 갑자기 튀어나오지 않는다.
건축설계는 미(美)적인 요소 외에도 사용(機能)하기 좋고,
안전(構造)하게 디자인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디자인과 판이하게 다르다.
게다가 복잡하고 다양한 건축 관련법에 합당하게 설계해야 한다
(構造, 機能, 美는 건축의 3대 요소로 건축의 기본이다).
그래서 많은 생각과 여러 대안을 검토한 후 최적의 안을 창출하는 것은,
그만큼 시행착오를 줄이는 길이므로 여유를 충분히 주어야 한다.
그런데도 사람들 대부분은 공사나 공사비에는 관심이 많으면서, 정작 가장 기초와
기본인 설계는 대충대충 해서 하루 속히 허가만 받으면 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설계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공사비가 결정될 뿐 아니라
주택은 다른 건물보다 규모는 작지만 그 기능은 아주 복잡하다.
그러나 주택은 가장 소중한 가족이 생활하고, 공부하고, 잠자고, 먹고, 배설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취미생활과 문화생활에 이르기까지 온갖 기능을 다하는 공간이다.
사소한 예로 전기 콘센트도 적당한 위치에 있지 않으면 대단히 불편하다.
특히 전기 콘센트의 위치와 높이까지도 세심하게 챙겼다.
이처럼 사소한 것까지 꼼꼼히 생각해야 하니 주택에서 얼마나 챙길 것이 많은가?
이 하나하나가 바로 그 건물을 사용하는 동안 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대충대충,
그러나 아무리 건축 전문가라도 건축주의 조건을 알 수는 없다.
그러므로 자신이 구상하고 요구하는 바를 자세히 알려주어야 한다.
생각을 많이 하고 이야기를 자세히 해주었을 때 그만큼 좋은 집을 지을 수 있다.
그런데 건축주 대부분은 처음 설계 당시에는 대충대충 생각한다.
자신은 건축에 대해 알지 못하니까, 전문가가 모든 것을 알아서 해 달라고 말한다.
그러나 내가 건축주이고 사용자이므로 세심하게 챙길수록 후회 없는 집을 지을 수 있다.
실제 공사에 들어가 현장을 보면서 이것저것 자신의 생각을 말하며 고쳐 달라고 하거나,
내 집은 아내의 눈높이에 맞춰 짓자
요즘은 주부들의 입김이 세다.
예전처럼 아버지나 남편이 집안의 대소사를 결정하고 집행하던 시대가 지난 지는 이미 오래다.
물론 여기에서 이런 문제를 따지자는 것은 아니다. 무슨 일을 당하려고 어찌 그런 불평을?
오히려 필자는 건축을 하면서, 특히 내 집을 지으면서 다른 것은 몰라도 주택만큼은
‘여자의 말씀을 들어서 손해 볼 일이 없다는 것’을 아주 강력히 주장하고자 한다.
주택은 가족을 위한 공간이다. 그 가족의 중심에 누가 있는가?
주부는 가정 살림에서부터 아이들의 양육, 교육 그리고 가족의 온갖 생활을 이끌어 간다.
그리고 주택의 주요 부분인 안방, 주방, 자녀방, 화장실 등은 말할 것도 없고,
평면 구성도 당연히 주부의 동선을 단축시키는 데에 주안점을 두거나,
최근에는 주부가 많은 시간 체류하는 주방을 주택의 주요 부분인 남쪽에 배치한다.
또한 여자 중심 공간인 주방과 다용도실의 크기나 설계에 따라 집을 선택하기도 한다.
각종 가전제품은 말할 것도 없고 주택에서도 여자 중심으로 변하는 것이 시대의 흐름이므로
또한 주택에 관한 모든 선택이나 결정도 ‘여자의 말씀’을 따르는 것이 좋다.
인테리어 주요 자재의 선택, 난방 방식, 조명 기구, 집 모양, 외장재,
하여튼 모든 것에서 여자의 말씀을 따르면 나중에 후회가 없다.
그동안 건축 특히 주택을 지으면서 그리고 내 집을 지으면서 절실하게 느낀 바를
심지어 어느 주택을 설계하고 건축하는 동안 남편의 얼굴은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을 정도로
그러므로 주택에 관한 한 아무 소리 말고 ‘아내의 고견’을 접수하는 것이 좋다.
주택에 관한 한 도대체 남자들이나 심지어 건축 전문가마저도 주부의 눈높이나
안목을 따라갈 수 없음을 자백한다. 솔직히 건축 전문가인 필자의 능력이 모자라서라기보다는
워낙 주부들의 눈높이와 안목이 출중하고 탁월하기 때문이다.
이 자리에서 주부들이 왜 그렇게 훌륭한지 그 원인을 분석하는 일은 의미 없다.
겨우 자신의 업무에만 매달리는 요즘의 남성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주부들의 세심함과
다양한 지식, 관심사 그리고 사회 참여도 등. 하여간 주부들의 안목은 높고도 넓고 깊다.
그러므로 모쪼록 내 집을 지을 일이 있거들랑 아무 소리를 말고 아내 말씀에 귀를 기울이자.
그러면 자다가도 떡을 얻어먹는 좋은 일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고,
아마도 살기 좋은 집을 지어 내내 편안한 생활을 할 것이다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귀농, 귀촌, 강원도 부동산, 횡성 부동산의 모든 것이 산골전원주택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즐감하셨으면 ▼ 하단에 추천하기 한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용인전원주택 전원주택단지 양평전원주택 전원주택시공 전원주택매매 전원주택분양 전원주택설계 전원주택급매물 제주도 전원주택 양평전원주택 급매물 전원주택짓기 전원주택사진 용인전원주택단지 경기도전원주택 여주전원주택 강화전원주택 전원주택 건축비 이동식주택 이동식목조주택 단독주택 효소건강다이어트 |
'아름다운 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모던함과 클래식함이 어우러진 주택 (0) | 2015.12.28 |
---|---|
[스크랩] 사랑이 묻어나는 유럽형의 전원주택 (0) | 2015.12.28 |
[스크랩] 독특한 모양의 텐트를 닮은 힐빙 목조주택 (0) | 2015.12.23 |
[스크랩] 살고 싶은, 짓고 싶은집.북유럽의 예쁜 단독주택 담아 봅니다. ♪ (0) | 2015.11.25 |
이준원·왕은성 부부의 나무집, 공주 쌍달리 녹천산방(鹿川山房) (0) | 2015.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