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전원생활엿보기75 [스크랩] 農漁村 빈집정보센타 現況 전국1백46개 시·군·구는 1996년 10월부터 농어촌빈집정보센터를 설치, 도시민들에게 빈집의 위치·면적·지목·소유자의 성명 및 연락처등 빈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자료를 원하시는 도시민은 별도 절차 없이 정보센터에 신청하면 비치된 빈집의 현황자료 (사유재산권 .. 2013. 8. 20. [스크랩] [전원생활]“농사만 짓는 게 아니에요” 시인 고은은 젊을 때 농촌생활을 경험했다고 한다. 이 때 느낀 농촌여성의 고달픔을 ‘내 아내의 농업’이라는 시에서 표현하고 있다. 그의 시처럼 과거 농촌사회에서의 여성은 생계를 위해 노동력을 제공하고 끊임없는 어려움에 인내하는 사람에 불과했다. 시대에 따라 농촌사회가 변.. 2013. 8. 20. [스크랩] 전원생활, 살아가며 해야 할 일들 전원주택과 정원, 환경, 텃밭 정면인 남쪽에 데크설치 많이 들 하는데.. 활용도는 무지 떨어집니다.. 남쪽 데크는 보통 큰나무를 심지 않기 때문에 땡볕이라 있기도 싫어집니다.. 파라솔 해도 무지 덥습니다.. 보통 봄~가을에는 10시를 넘어가면 햇볕이 부담이 되기 시작합니다.. 이때는 남.. 2013. 8. 20. 전원주택의 모든 것 전원주택의 모든 것 1. 전원주택 체크포인트 전원주택은 진입로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통행로에 사유지가 있다면 통행사전 허가를 받든가 토지사용승락서 협의각서를 받아야 한다. 최소 4m폭의 도로에 인접하고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는 토지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아파트처.. 2013. 8. 13. [스크랩] 주말주택과 전원주택의 차이점, 별장? 주말주택과 전원주택의 차이점은 뭘까 ? 주말주택과 단독주택,별장주택의 차이는 또 뭘까 ? 주 2일 off시대 를 맞이하여 도시를 떠나 전원으로 향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전원주택과 그와 유사한 신조어가 쏟아지고 있다. 세컨드하우스, 멀티해비테이션 , 위크엔드하우스등등 갑자기 생.. 2013. 8. 13. [스크랩] 전원주택지를 살 때 기본적으로 체크해야 할 사항 전원주택지를 살 때 기본적으로 체크해야 할 사항 도심의 현대인들이 전원으로 삶의 터를 옮기고 싶어하는 욕구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임은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이러한 주택문화의 변화에 동참하여 자기집을 짓는다는 것은 분명 큰 즐거움이다. 더구나 도시생활에 익.. 2013. 8. 11. [스크랩] 개성과 실속갖춘 전원주택 5가지 유형 개성과 실속갖춘 전원주택 5가지 유형 농가주택 개조 전원주택이라고 해서 무조건 비싸고 화려한 집을 짓기 원한다면 큰 오산이다. 전원 속에서 얻어지는 자연의 풍요로움을 느끼고자 전원에 사는 것이지, 별장처럼 화려한 집 짓고 살아가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싸고 좋은 환경이 있다.. 2013. 8. 9. [스크랩] 아름다운 전원주택을 위한 정원만들기 전원생활을 위한 정원만들기 당신을 위한 세상에서 하나 뿐인 전원주택에 가장 어울리는 하나의 정원은 어떤 것이라고 상상하세요? 직접 정원을 만들어 보고 싶지 않으세요. 도전해 보세요. 꽃과 늑대가 도와드리겠습니다. 먼저 어떤 정원을 상상하고 계신지 들어 보고 싶군요? 잔디밭의.. 2013. 7. 30. 전원생활이 악몽이 될 수있는 사례분석 전원생활이 악몽이 될 수있는 사례분석 경기도에서 귀촌을 준비하는 김영호(가명)씨는 요즘 속이 탄다. 두 달이면 된다던 집 공사가 일년이 넘어도 지지부진하다. 2년 전에 매입한 농지에는 씨도 못 뿌렸다. 경기도 인근의 작은 마을에서 준비한 그의 인생 2막은 악몽같다. 김씨는 관공서.. 2013. 7. 30. [스크랩] 전원 생활의 지름길 전원 생활의 지름길 입지선정이 전원생활의 최대의 관건이다. 전원주택을 어떤 용도로 쓸 것인가? 입지선정에서 가장 심각하게 고민하여야 할 부분이 바로 이것이다. 많은 도시민들이 전원주택에서의 생활을 원하고는 있지만, 아무나 전원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전.. 2013. 7. 27. [스크랩] 전원생활 입지 선택, ‘지역가치’를 따져라 제목 없음 오늘날, 도시인이라면 누구나 전원생활을 꿈꾼다. 그러나 시골로 내려가겠다고 마음의 결심을 굳힌 이후에도 어디로 갈 것인가를 놓고서는 또 다시 고민에 휩싸인다. “고향으로 갈까, 아예 더 멀리 남녘으로 내려갈까. 아니야, 부모님과 자식들이 살고 있는 서울 인근 경기도.. 2013. 7. 22. [스크랩] ●실패하는 귀농의 5대 조건 & ●성공하는 귀농의 10대 조건 ●실패하는 귀농의 5대 조건 1. 공부안하기 시골·농촌 문화를 습득하는 데 소홀하면 할수록 농사일은 힘들고 지겨워진다. 2. 게으름 피우기 일찍 일어난 새가 먹이를 먹는다. 늦잠 자고 일 안하는 만큼 소득은 줄고 지역 주민들은 떨어져 나간다. 3. 잘난 척 배운 척 있는 척하기 귀농후 3.. 2013. 7. 9. 이전 1 ··· 3 4 5 6 7 다음